바르 코흐바 썸네일형 리스트형 파라샤 발락 (민 22:2-25:9) 파라샤 발락을 읽는다. 민수기는 분량이 많지 않은 데 반해, 제노사이드 묘사로 해석이 난해한 책이다. 많은 개혁파 교단은 민수기에 드러난 이해할 수 없는 하나님 백성의 폭력성을 당시로 한정된 시대적 특성이라 해석한다. 우리도 하나님 백성처럼 이방 백성을 죽이러 가자, 하는 주석을 누가 받아들이나. 그런 점에서 민수기를 큐티 본문으로 삼는 것도 편치 않다. 소위 오늘의 삶에 적용할 게 미묘하기 때문이다. 적어도 나는 그렇다. 히브리 성경은 책의 첫 단어를 책 제목으로 삼는다. 창세기는 브레쉬트, 출애굽기는 쉐모트, 레위기는 바이크라. 그런데 민수기 1장 1절 첫 문장은 이 책에서 수도 없이 반복되는, "하나님이 모세에게 말씀하셨다"이다. 그래서 그 다음에 나오는 "시내 광야에서(במדבר סיני)"의 첫..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