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브레슬레브

2023 로쉬 하샤나 신학 논쟁 이스라엘 정부가 지난 일요일 (9월 10일) 우크라이나 우만으로 여행할 순례자들을 위한 재정 지원을 승인했다. 400만 셰켈, 백만 달러다. 정부가 자금 지출을 이렇게 즉흥적으로 결정하다니, 여전히 적응이 안 된다. 그보다 이를 계기로 네타냐후 총리가 자기 내각에 앉은 종교인들과 각을 세우게 됐다. 나라를 통치하는 데 필요한 이성과 합리성이 현저히 부족한 이들을 견디는 게 총리로서도 한계일 거다. 매년 로쉬 하샤나 명절에 수만 명의 종교인들이 1810년 사망한 하시딤 지도자 브레슬레브의 랍비 나흐만의 무덤에서 기도하기 위해 우만으로 향한다. 코로나 바이러스도, 우크라이나의 전쟁에도 굴하지 않았다. 이렇게까지 열심인 이유가 순전히 종교심이 강해서일까. 워낙 특이한 남성들만의 활동이라 해괴한 루머가 많이 돈.. 더보기
로쉬 하샤나, 브레슬레브 로쉬 하샤나를 보낸 이스라엘이 일단 일상으로 복귀했다. 곧 욤키푸르, 대속죄일이 다가오지만 그때까지 회사도 가고, 학교도 가야 한다. 그런데 수백 명의 이스라엘 사람이 우크라이나-폴란드 국경에 갇혀서, 먹을 것도 마실 것도 없다며 하소연하고 있다. 이게 무슨 일일까. 이스라엘 하시딤 중에 브레슬레브 종파는 해마다 로쉬 하사냐에 우크라이나 우만에 있는 그들의 랍비 나아만의 무덤을 방문한다. 랍비가 1810년 돌아가시면서 로쉬 하샤나 때 내 무덤에 찾아와 시편을 읽으면 복을 몇 배나 더 받는다고 했고, 그걸 믿기 때문이다. 모든 게 정상이던 시절에는 종교와 이동의 자유가 있는데 뭘 하든 상관할 필요가 없었다. 문제는 현재 우크라이나는 전쟁중이고, 러시아가 자그만치 30만 명이나 예비군을 소집한 상황이라는 점.. 더보기